요구사항 개요
요구 공학(Requirements Enginnering)의 개념
-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한 도출, 분석, 명세, 확인 및 검증하는 구조화된 활동
요구공학의 목적
- 이해관계자 사이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하고 시스템 개발의 요구 사항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설정
- 요구사항 누락 방지 및 이해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절감
요구사항의 분류
1. 기능적 요구사항
개념 :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,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
특성 : 기능성, 완전성 , 일관성
도출 방법 : 특정 입력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
2. 비기능적 요구사항
개념 :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의 사항.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약 사항에 관한 요구사항
특성 : 신뢰성, 사용성, 효율성, 유지보수성, 이식성,
도출 방법 : 품질 속성에 관련하여 시스템이 갖춰야 할 사항에 관한 기술
요구사항 프로세스
요구사항 개발 CMM 레벨3
순서 : 도출 > 분석 > 명세 > 확인 및 검증
요구사항 확인 및 검증 단계
요구사항 명세서에 사용자의 요구가 올바르게 기술되었는지에 대한 검토.
1. 동료 검토 (Peer Review)
- 2~3 명이 진행하는 리뷰 형태
-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로 진행
2. 워크 스루 (Walk through)
- 오류를 조기에 검출하는 것이 목적
- 검토 자료를 회의 전에 배포하고 사전 검토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를 진행하는 형태
- 비공식적인 검토
3. 인스펙션 (Inspection)
- 작성자 외의 전문가 또는 팀이 검사하여 오류를 찾아내는 공식적인 검토 방법
절차 : 계획 > 사전 교육 > 준비 > 인스펙션 회의 > 수정 > 후속 조치